Seoul, 24.06.2019
2019.06.24 - 2019년 온/오프라인 국내 컨슈머 노트북의 매출액은 소폭 늘었으나 판매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주요 노트북 제조사들이 고사양의 제품을 출시하면서 노트북의 가격대는 상승한 반면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주기가 길어진 것이 원인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업 GfK에 따르면, 2019년 노트북 시장은 약 7천 880억원 규모로 (지난해 7천 770억원) 작년 대비 1.4% 늘어났다. (1-4월 기준) 최근 전반적인 노트북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제조사의 출고가가 점차 상승했기 때문이다. 반면, 판매량은 2017년 이래 큰 폭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는 약 66만 대 (지난해 70만 대)로 전년대비 약 6% 가량 하락하였다.
이에 GfK는 최근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노트북의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을 짚어봤다. 먼저 고가형 프리미엄 제품으로 여겨지던 21mm 미만의 울트라 슬림 노트북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2019년에는 울트라 슬림 노트북이 전체 노트북 판매량의 80% (약 52만 대)에 해당하는 판매고를 올리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18mm 미만 제품의 판매량이 작년 동기 대비 9.5%의 성장률(판매량 기준)을 보이면서 전체 울트라 슬림 시장을 견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GfK는 성능과 휴대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초경량 노트북이 소비자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영상 시청, 이미지 편집 등 정보 검색과 문서 작업 이상의 용도로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15인치 이상의 몰입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를 선호하는 경향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256GB 보다 더 높은 용량의 512GB 대용량 SSD가 탑재된 제품의 판매량도 동반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성능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로 분류되는 게이밍 노트북(Gaming Notebook)의 수요도 여전히 주목할 만 하다. 게이밍 노트북은 2016년부터 전체 노트북 판매량의 10%의 비중을 상회하고 있는데, 올해 게이밍 노트북의 1월~4월 판매량은 7만6천 대를 기록하여 전년비 7% 판매량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이밍 노트북은 비교적 명확한 포지셔닝을 통해 꾸준히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최근에는 슬림형 디자인의 게이밍 노트북이 출시되며 주춤해진 PC 시장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GfK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고성능 사양의 제품들을 고가의 가격을 지불하여 구매하는 만큼 노트북은 고관여 제품으로서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면서 “기술적으로 상향 평준화가 시작된 올해부터는 소비자 구매 주기가 더 길어질 것이기 때문에 구매 목적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면서도 휴대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모두 갖춘 완성형 제품들이 노트북 시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시장 점유율 및 브랜드 성과를 측정하는 제품 판매 성과 추적 비교 도구. 소매 업체와 리셀러 모두에게서 수집하는 데이터. 모든 관련 채널에 대한 정기적인 POS 인사이트
더 읽어보기현재와 미래의 기술 부품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정확하고 시기적절한 판매 예측. GfK의 Point of Sales 데이터에 기반한 정기적인 예측
더 읽어보기판매되는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전체 유통 채널에 걸쳐 모니터링합니다. 데이터 집계 및 분석을 통해 제품군 트렌드와 새로운 시장 기회를 파악합니다.
더 읽어보기18.02.2021
News
2020년 코로나19와 으뜸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환급사업의 영향으로 수요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6.12.2020
Articles
GfK의 FutureBuy 2020에 따르면 소형가전을 구매한 사람들의 48%가 오직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만 구매를 했다고 답했습니다. 한국의 가전제품 구매자들은 또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17.11.2020
Articles
국내 제조사들은 어떤 기준으로 한국 가전시장의 유통 채널을 분류하여 대응하고 있을까요? 각 채널 별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만이 가진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내 제품에 맞는 채널을 선택하고, 채널에 맞는 전략을 짜는데 바탕이 될 수 있습니다.